현재 본 학부는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들, 학위과정과 시설들, 그리고 우수한 교수진을 갖추고 있어서, 학생들이 꿈꾸고 있는 저마다의 소망이 이루어지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있습니다.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은 한양 에리카의 자랑입니다. 현재 본 학과는 건축교육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는 싱가포르 국립대(NUS), 미국의 일리노이 공과대(IIT), 아리조나 주립대(ASU)와 함께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본 학부는 국제화 교육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3학년 1,2학기를 국제화 학기로 정하여 모든 과목들을 영어로 수업하고 있으며, 필요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 강의를 별도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양에리카 건축학부는 세계 모든 학생들이 한양 에리카의 울타리 속에서 더 희망찬 미래를 향해 성장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目前,本学院拥有多种国际化项目、学位课程和设施,以及优秀的教授团队,并一直在为学生实现梦想提供最大限度的支援。
拥有多样的国际化项目是汉阳爱丽卡校区的骄傲。 目前,本学科与建筑教育方面享有国际声誉的新加坡国立大学(NUS)、美国的伊利诺伊理工学院(IIT)、阿丽佐娜州立大学(ASU)一起合作,进行着多种多样的国际化项目。
为提高国际化教育水平,本学部将3年级第1、2学期定为国际化学期,所有科目均用英语授课,并将对有特别需要的外国学生进行韩语授课。 汉阳爱丽卡建筑学部希望世界上所有的学生能够在汉阳爱丽卡这片土地上,向着更加充满希望的未来成长。
현재 본 학부는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들, 학위과정과 시설들, 그리고 우수한 교수진을 갖추고 있어서, 학생들이 꿈꾸고 있는 저마다의 소망이 이루어지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있습니다.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은 한양 에리카의 자랑입니다. 현재 본 학과는 건축교육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는 싱가포르 국립대(NUS), 미국의 일리노이 공과대(IIT), 아리조나 주립대(ASU)와 함께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본 학부는 국제화 교육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3학년 1,2학기를 국제화 학기로 정하여 모든 과목들을 영어로 수업하고 있으며, 필요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 강의를 별도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양에리카 건축학부는 세계 모든 학생들이 한양 에리카의 울타리 속에서 더 희망찬 미래를 향해 성장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目前,本学院拥有多种国际化项目、学位课程和设施,以及优秀的教授团队,并一直在为学生实现梦想提供最大限度的支援。
拥有多样的国际化项目是汉阳爱丽卡校区的骄傲。 目前,本学科与建筑教育方面享有国际声誉的新加坡国立大学(NUS)、美国的伊利诺伊理工学院(IIT)、阿丽佐娜州立大学(ASU)一起合作,进行着多种多样的国际化项目。
为提高国际化教育水平,本学部将3年级第1、2学期定为国际化学期,所有科目均用英语授课,并将对有特别需要的外国学生进行韩语授课。 汉阳爱丽卡建筑学部希望世界上所有的学生能够在汉阳爱丽卡这片土地上,向着更加充满希望的未来成长。
건설환경공학은 인간생활의 기초적인 복지가 되는 각종 사회기반인프라의 계획 및 설계부터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까지 담당하는 학문입니다.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건설환경공학과는 건설관리, 구조공학, 지반공학, 콘크리트공학(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재료), 폐기물공학, 수자원환경공학(수공학, 수리해안공학, 수질공학)의 9개 분야로 구성되어 사회기반인프라의 인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 1979년 개설된 후로 대한민국 산업성장에 중심이었던 건설분야의 인재를 양성해왔으며, 건설산업 기술적 발전에 큰 기여를 해 왔습니다. 에리카캠퍼스 건설환경공학과는 역사와 전통을 기반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경제적인 환경에 맞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지속적으로 사회의 변화를 적응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건설환경공학과에서는 국가고시반을 운영하면서 숙식제공, 독서실 및 스터디실 제공, 자료무료제공 등 고시생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이 학업 이외에도 다양한 경험 및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과 내 동아리를 운영 중입니다.이처럼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건설환경공학과는 국가정책, 산업발전, 연구·기술개발 및 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능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가의 발전을 이끌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입니다.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s a discipline in charge of planning and designing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which are the basic welfare of human life, to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Th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t Erica Campus of Hanyang University consists of 9 fields: Construction Management,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Concrete Engineering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Materials), Waste Engineering, and Water Environment Engineering (Water Engineering, Hydraulic Coastal Engineering, Water Quality Engineering).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79 as an institution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for social infrastructure, it has cultivated human resources in the construction field, which was the center of industrial growth in Korea,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t Erica Campus is making efforts to cultivate outstanding human resources who can continuously adapt to changes in society by presenting a new vision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based on history and tradition. Th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s providing support to alleviate the difficulties of high school students such as providing accommodation and board, reading room and study room, and free materials while operating the national examination class. Is operating.As such, Hanyang University's Erica Campus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an continuously lead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through the cultivation of talented people with the ability and character to lead national policy, industrial development,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education.
교통물류공학과는 1988년 교통공학과로 신입생을 받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2012년, 교통물류공학과로 개편하여 공학대학 내 상위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다. 졸업생의 취업은 교통 및 물류체계 전체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것부터 세부적인 부분을 운영하는 분야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부문과 관련하여, 사회기반구축의 기본이 되는 도로건설, 설계, 시공 등과 정책결정시 필요한 수요, 경제, 그리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기, 전자, 통신 등과 연계된 첨단도로교통체계(ITS)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다. 물류부문과 관련하여서는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로 성장하기 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세계적인 물류기업 양성을 위한 물류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교통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교통전문인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높아졌고,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교통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교통물류공학과 졸업생들은 각종 교통관련 연구소, 지방자치단체, 전문기술용역업체 등에 진출하게 된다. 이외에도 교통 관련 언론분야, 도로 및 토목계열회사, 대형화물운수회사,항공 및 유통관련 기업체에서도 취업 요청이 급증하고 있다. 또 세계적인 추세인 융복합학문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학과명칭을 교통물류공학과로 변경, 사람과 화물의 연구에서 물류체계분야까지 확대 개편하여 기업의 생산, 재고, 구매, 정보의 전략적 분야에 전통적인 교통공학 학문과 물류분야 학문을 접목하였다. 교통계획, 교통공학, 교통운영분야를 물류운영공학, 수·배송관리, 물류정보 및 보관·하역분야와 접목하여 국가가 요구하는 교통물류의 융복합학문분야의 선두로 나아가고자 한다.
Transport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economy and welfare of a nation. Its importance increases as a nation becomes more modernized and advanced.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Logistics Engineering of Hanyang University seeks to educate students to be global leaders in the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field by conducting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analyses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issues.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focuses on the operation, planning, design, safety, pavement, transportation management, and logistics systems involving all the movement of passengers and freight via highway, rail, port, short & deep sea.Well-qualified and motivated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engineering backgrounds in modeling, system analysis, planning, and use of state of the art computational methods. Graduates educated by our distinguished faculty members will become capable of devising effective solutions to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problems. Career opportunities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are rich and divers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have a variety of career opportunities in public agencies, major corporations, private transportation consulting firms, and all the logistics related firms such as freight carriers, forwarders, and shippers. The department is proud to have the best record of job placement for its graduates. The department is housed in Engineering Building II overlooking beautiful Lions’ Lake, the center of all campus activities.
전자공학부에서는 첨단 과학기술과 정보통신(ICT) 기반 산업의 융합을 통하여, 미래 지능형 전자전기 분야를 이끌어 나갈 주역을 양성한다. ICT 기술은 전자전기시스템은 물론, 안전, 보안, 교통, 의료, 교육, 국방, 제조업, 스마트폰,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 융합 활용되며 성장하고 있다. 전자공학(반도체, 회로설계, SoC), 통신공학(정보통신,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시스템공학(전자전기 HW/SW시스템, 컴퓨터 HW/SW, 전기에너지) 분야를 배우고 산학연구사업에 참여하여, 산업 분야를 선도할 창의적인 현장맞춤형 전문인력 양성에 역점을 둔다. 2000년 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ICT 분야 91개 대학 중 전국 2위로 최우수 대학(원)에 선정되었고, 2014년도에 수도권대학 특성화사업(Creative Korea-Ⅱ)에 선정되어, 교재개발, 장학금, 첨단강의실/실험실, 산학협력, 동아리 활성화, 학습도우미(SEED 조교)등의 우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환경 개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Our goal is to train leading engineer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through convergence of advanced science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Applications of ICT are vastly growing in various areas, such as safety, security, transportation, medical, education, defense, manufacturing, and smartphones/cars, to name a few. Students are expected to gain necessary knowledge required for Electronic Engineering (Semiconductor, Circuit Design, System on Chip), Communication Engineering (IT,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and System Engineering (Electro-electric HW/SW, Computer HW/SW, Electric Energy) by participating in research oriented projects. Hanyang ranked the 2nd best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in 2000, and has been recognized by the Creative Korea (CK) in 2014 which is responsible for supporting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such as textbook development, scholarships, advanced lecture rooms/laboratories, collaboration with industry, student club activation, and tutors (SEED teaching assistants).
한양대학교 (ERICA) 재료화학공학과는 재료공학 및 화학공학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 및 연구역량을 확보한 두 학과간의 융합으로 2015년에 새롭게 하였다. 한양대학교 (ERICA) 재료화학공학과는 재료공학, 화학공학 관련 기초학문 및 NT (Nano Technology), BT (Bio Technology), IT (Information Technology), ET (Environment & Energy Technology) 융합학문 분야의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인재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재료화학공학은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인간 문화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재료, 화학, 물리, 공정 개발 및 설계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연관되어 있어 그 학문적 가치 및 산업적 수요가 매우 큰 분야이다. 재료화학공학을 전공한 학생들의 진출분야도 매우 광범위하여 반도체, 석유화학, 정유, 전자, 자동차, 조선, 의약, 고분자, 항공기, 철강, 환경산업, 공정자동화 등 재료화학공학 전분야를 아우르는 산업체 및 연구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재료화학공학과는 BK21플러스 인력양성사업 및 CK-II 특성화사업 선정, 재료공학분야 2012년 산업체 관점 대학평가 신소재•철강 분야 1위, 화학공학분야 2013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전국 6위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재료화학공학과가 세계 초일류 학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Department prior to unification exhibited the best education and research capability in Korea. The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received the top prize for industrial university evaluation 2012 in the fields of materials and steel. Moreover,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was ranked 6th at Joongang Daily for university evaluation in 2013. The overall aim for our unification of the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hemical Engineering is to educate students with ingenuity in a convergent fields of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Our Department strives to maintain a balanced commitment between teaching and research; many faculty members have been honored by either the university, or national organizations for their outstanding teaching and research. Our undergraduate students benefit from a nationally accredited curriculum that carefully balances theory and application in a unified course curriculum. The unified Materials/Chemical engineering program provides a progressive experience, ranging from the fundamentals to the practice of engineering. We also encourage undergradu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research activities. Students benefit not only from their daily contact with the faculty members, but also from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to deal with related problem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is approach assists in providing breadth as well as depth to students’ graduate experience, and helps to prepare them for the interactive research and problem solving in industry, government laboratories, and institutes.
기계공학은 21세기 지식기반 산업의 핵심 중추 분야에 해당하는 공학 분야이며,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자동차, 선박, 고속 철도차량, 반도체와 IT 산업기기, 로봇과 의공학 기기, 차세대 철강제조, 항공기 및 각종 플랜트 산업등이 해당한다. 본 학과는 1979년 설립 이래 총 6,3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여 현재 대기업 및 중소기업, 연구소, 대학, 공공기관 등 우리 사회 각계각층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1999년부터 두뇌 한국(BK) 21 과학기술분야 1단계 및 2단계 사업에 참여하여 우리나라 기계분야의 고급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교육부 학연산 클러스터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현장 중심형, 연구 중심형, 창업 중심형 교육과정과 같은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학재단 지정 최적설계신기술 연구센터와 산업 자원부 지원 신뢰성분석 연구센터 및 마이크로바이오칩 센터에 참여하고 국가 창의적 연구 과제를 포함한 각종 국가연구개발과제와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2004년 대교협 기계분야 평가에서 전국 2위의 성적으로 최우수 학과로 선정 되었으며, 2012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주관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최우수’, 2013년도 중앙일보 학과 평가 ‘전국 10위’ 및 QS 세계대학 학문분야 평가 ‘세계 109위’,2014년 수도권특성화사업단 선정 등 명실공히 21세기 국가산업을 주도할 기계분야의 연구 및 교육중심 학과로 자리 잡고 있다.
Mechanical Engineering is concerned with the engineering aspects of design and development, thermo fluids analysis, machine design, manufacturing, automatic control, and the science of machine application. The broad areas to which mechanical engineers contribute are power generation, energy conversion, manufacturing, robotics,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s, and other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s who hav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of Hanyang University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The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has been supported by Brain Korea 21 (BK 21) program since 1999,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ases. The department ranked second among the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s in Korea by the Korean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in its 2004 Academic Evaluation Certification.
산업경영공학은 사람, 물질, 설비를 통합한 시스템의 설계, 개선, 확립을 위한 학문으로 산업공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기업에서의 정보시스템과 경영시스템의 분석과 설계능력을 고취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리적 해결능력, 공학적 분석력, 설계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이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논리력과 발표력을 학습하도록 한다. 특히 산업경영공학은 기술과 경영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시스템의 조직과 운영에 주목하여 날로 전문화되어 가는 정보사회에서 최적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산업경영공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이론과 실습을 포함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주요 교육분야에는 물류생산시스템 분야, 경영과학분야, 정보시스템분야, 인간공학분야 등이 있다.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industrial engineering) traditionally deals with the analysis, design, resour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of operating systems. The purpose of the Major in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is to implement integration for optimal performance of humans, machines, and resources in the operating system. Therefore, the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degree focuses on how systems and system components can fit together.Operations Research (OR), Manufacturing Engineering, and Ergonomics provide the basic tools to perform these analyzes and integrations.The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degree will lead the way to use the finite resources on the planet as efficiently as possible. Also,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must understand not only technology but also people. Therefore,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deals with a variety of disciplines, from mathema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to communication, computer science, and production management to process control.You will find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degrees in a variety of high value-added professions that contribute to productivity and ar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place. Many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s work in manufacturing and industry, and compan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banks, hospitals, governments, etc. will also be able to design efficient and productive systems. In recent years, the area has been further expanded to include the non-manufacturing service industry area including logistics, supply chain, distribution,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medicine, and safety, and scientific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hese systems Design and control methods are in demand.
생명나노공학은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 BT)과 나노공학기술(Nanotechnology, NT)이 융합된 연구 분야이며 공학과 과학이 조합된 발전된 학문분야이다. 현대 공학과 과학은 기존의 고유했던 학문 영역을 넘나들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융합은 선진국형 학문과 산업의 주축으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학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2010년 한양대학교가 전략적으로 설립한 학과로서, 생명공학과 나노공학의 실용지식을 갖춘 유능한 공학도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이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학과의 우수성은 2001년 산업자원부 지원 마이크로바이오칩센터를 시작으로 2006년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BK 21 대형사업단, 2008년 미래창조과학부 지원 통합형 휴먼센싱 기술 개발 ERC 연구센터, 2011년 산학협력 선도대학 나노메디신 연구단, 2013년 교육부 지원 BK 21 플러스 바이오나노융합인력양성 사업단 등 대형 정부사업을 잇달아 유치함으로써 연구 경쟁력을 대내외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Bionano Engineering is a rapidly evolving field of research at the crossroads of bio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which are two interdisciplinary areas that needs combination of advances in engineering and science. Engineering and science of the 21st century cross an existing field of study and grow explosively around the advanced countries. The Department of Bionano Engineering was established strategically by Hanyang University in 2010 to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 advanced academic and industrial society. The educational aim of the department lies in the nurturing of specialized global leaders with the knowledge of the latest technologies and theories. In addition, the excellence of the department has been recognized widely by execution of national mega-projects(Micro Biochip Center, Brain Korea 21, Engineering Research Center, LINC and Brain Korea 21 Plus etc.).
로봇공학은 인간을 모방하여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인 로봇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의 뒤를 이을 국가미래 첨단산업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는 국가 프로젝트,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로봇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높은 명성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이에 국내 최고의 로봇 교육, 연구 기관으로 발돋움 하고자 2013년 로봇공학과를 신설하였으며 교내 레인보우학과로 선정되어 최초 합격생에게 4년간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다.로봇제작은 기계, 전기/전자, 컴퓨터를 종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융·복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교의 로봇공학 교육과정은 기초과목은 물론, 로봇을 제작, 운용에 필요한 과목들로 교과과정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목들은 이론과 실험이 조화된 형태로 배울 수 있고, 로봇공학과 자체 동아리 HY-MEC의 운영 및 지원을 통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로봇을 다루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교내에 위치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연구그룹 및 경기테크노파크와의 연계를 통해 최신 연구동향을 놓치지 않도록 각종 세미나 및 현장학습의 기회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본 학과의 졸업생은 로봇 연구 및 교육자는 물론 산업체에 취업하여 제품개발의 리더, 국가기관에서는 첨단산업의 정책 입안자 등으로 활약할 수 있다.
Robotics is the field of study that deals with robot system that can perceive the external environment, make decisions about it and then perform intelligent actions autonomously in ways that are similar to humans. Robotic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rontier technologies that can lead the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just as the automotive industry and the semiconductor industry did before.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maintains high reputation in the field of robotics through many years of performing numerous government and industry projects and research activities. Having this background, Robotics department was found in 2013 with the goal of providing the best college level robotics education and becoming the top-level research robotics institution. Robotics department is one of the Rainbow Department in ERICA campus, offering 4 year scholarship for the students.Robotics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requiring knowledge from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Reflecting these requirements, the curriculum of the Robotics department includes the topics from these domains as well as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and strikes a balance between theory and experiment. Outside the class, the department also supports the departmental robotics club HY-MEC, giving students the chance of practical experience in robotics. The ERICA campus hosts the robotics group of KITECH and Gyeonggi Technopark, offering students with the up-to-date robotics research trends through many seminars and internship opportunities.The Robotics department is committed to training its students so that they become the world-class robotics researchers & educators, industrial robotic engineer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on national industry.